Host ID
A클래스 앞 한 옥텟 = Network ID = 네트워크로 식별
A클래스 뒤 세 옥텟 = Host ID = 호스트 식별, IP를 찾는 무언가
스위치에 달린 포트는 결과적으로 IP를 가질 수 없다.
B클래스 앞 두 옥텟 = Network ID
B클래스 뒤 두 옥텟 = Host ID
C클래스 앞 세 옥텟 = Network ID
C클래스 뒤 한 옥텟 = Host ID
각 네트워크는 첫 번째 주소와 마지막 주소는 쓰지 못한다.
(마지막은 broadcast 주소)
호스트 수를 계산할 때는 2를 빼준다.
서브넷 마스크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를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누는 역할을 한다. 호스트 부분이 사용 가능한 IP 주소를 나타내므로, 필요한 호스트 수에 따라 적절한 서브넷 마스크를 선택할 수 있다.
서브넷 마스크 = Network ID는 '1', Host ID는 '0'으로 채우면 구할 수 있다.
11111111.0.0.0.0 => Network 부분은 고정되어 있고, Host 부분은 무엇이 들어와도 괜찮다.
서브넷 마스크로 네트워크 식별은 못하지만, 네트워크의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192.168.100.0~255
Subnet Mask = 255.255.255.0 (192.168.~이 C클래스 주소이기 때문)
첫 번째 주소 = 네트워크 주소 = 대표주소 (192.168.100.0)
마지막 주소 = 브로드캐스트주소 (192.168.100.255)
=> 호스트 개수는 대표주소와 브로드캐스트주소를 빼야 해서 -2를 해야함
호스트 개수
A 클래스: 2^24 -2
B 클래스: 2^16 -2
C 클래스: 2^8-2
어떠한 네트워크가 classful이면, 네트워크 ID가 어디서부터 어디까진지 알 수 있고, 서브넷마스크도 알 수 있다.
하지만 classless라면 서브넷 마스크가 있어야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네트워크 아이디인지 알 수 있다.
클래스리스
대표주소 192.0.0.0
SM 255.0.0.0
=> 어 규칙 어겼네? classless이다.
CIDR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대표주소 192.168.1.0
SM 255.255.255.0
=>
프리픽스 (prefix)
=>
192.168.1.0/24
대표주소/SM에서 1의 갯수
SM 0.0.0.0도 가능하다
= 전부가 host ID
= 현실세계에서는 그렇게 하지는 않는다
0.0.0/0 = 모든 IP를 뜻함 = 모든 불특정 다수의 IP
<Classful>
192.168.1.0/24일 때
192.168.1.0 = 대표주소
192.168.1.255 = 브로드캐스트 구조
호스트(대표, 브로드캐스트 주소 포함) 2^8 = 256
네트워크 규모(크기): 256
네트워크 갯수: 1
<Classless>
C클래스 네트워크를 두 개로 나누면
네트워크 규모: 128
네트워크 갯수: 2
==> 이렇게 두 개로 나누는 것을 subnetting이라고 한다!!!
prefix가 커지면 규모가 작아진다.
그러므로 24보다는 prefix가 큰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답은 25다.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것에 1bit를 더 쓴다. => 네트워크 갯수는 증가하고, (각 조각의) 규모는 작아진다.
문제
Packet Tracer 사용법
라우터는 2811을 사용.
같은 장비라면, 크로스 케이블을 사용한다.
다른 장비라면, 다이렉트(스트레이트) 케이블을 사용한다.
인터페이스에 IP를 넣어주고 싶음. n을 눌러서 입력 모드로 바꾼다음에 빈 공간에 ip 입력 후 확인해보기.
연결을 테스트할 장비 모두에 아래와 같은 설정
Router 두 번 클릭 후 cli로 설정
Continue with configuration dialog? [yes/no]: no
# Router> 사용자모드
Router> en
# Router# 관리자모드
Router# conf t
# Router(config)# 전역설정모드(라우터 전체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모드)
Router(config)# int f0/0
# Router(config-if)# 인터페이스 모드 (해당 인터페이스에만 영향을 미치는 모드)
Router(config-if)# ip add 192.168.1.100 255.255.255.0
Router(config-if)# no shut
# 실행하면 포트에 ip가 할당됨
Router(config-if)# do ping 192.168.1.200
.!!!!
# 통신되는지 확인하기
# .(점)의 의미= 통신이 안됨. 1=통신이 됨
Router(config-if)#do sh ip int br
# do = 전역설정모드 위일때
# sh = show 보여달라
# ip = ip에 관련된 설정
# int = 인터페이스
# br = brief, 간략하게
#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볼 수 있다.
# status = 해당 인터페이스의 물리적인 동작 상태
# protocol = 상대랑 프로토콜을 맞췄는지, 논리적인 상태 확인
# 오타가 있으면 사이트를 찾는 것으로 잘못 인식함.
통신을 할때는 논리적인 ip 주소, 물리적인 mac 주소가 필요함.
mac 주소를 특정하고 싶어서, 논리적인 ip 주소도 필요한 것이다.
문제1.
나에게 2.2.2.0/24라는 네트워크가 주어졌다.
이 네트워크를 8개의 네트워크로 서브넷팅을 했을 때
두번쩨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구성한 다음 통신이 되는 것을 확인하시오.
=> 8개의 네트워크 = 2의 3제곱 =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데 3비트를 썼다.
prefix의 변화: /24 -> /27
SM=1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
255.255.255.224
참고 연속 1의 종료 위치에 따른 숫자
128 192 224 240 248 252 254 255
하나의 옥텟을 기준으로 했을 때
256-SM = 네트워크의 규모
=> 256-224(SM) = 32(네트워크의 규모)
1) 2.2.2.0/27
2) 2.2.2.32/27 (두 번째 네트워크, A) => 대표주소 2.2.2.32, 브로드캐스트주소 = 2.2.2.63 => 이 사이에서 통신이 되는지 확인하기. ping으로 확인함.
3) 2.2.2.64/27
문제2.
3.3.3.0/25라는 네트워크가 나에게 주어졌다.
이 네트워크를 8개로 서브네팅 후, 3번째(A) 4번째(B)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토폴로지를 구성해보세요.
R1과 R2의 통신, R2와 R3의 통신을 확인한다.
R1과 R3는 통신이 안되는 게 맞음.
3.3.3.0 /25 => 규모 128 0~127
=> 8개의 네트워크 = 2의 3제곱 =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데 3비트를 썼다.
prefix의 변화: /25 -> /28
SM=11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
255.255.255.240
참고 연속 1의 종료 위치에 따른 숫자
128 192 224 240 248 252 254 255
하나의 옥텟을 기준으로 했을 때
256-SM = 네트워크의 규모
=> 256-240(SM) = 16(네트워크의 규모)
1) 3.3.3.0/28
2) 3.3.3.16/28
3) 3.3.3.32/28 (세 번째 네트워크, A) => 대표주소 3.3.3.32, 브로드캐스트주소 = 3.3.3.47 => 이 사이에서 통신이 되는지 확인하기
4) 3.3.3.48/28 (네 번째 네트워크, B) => 대표주소 3.3.3.48, 브로드캐스트주소 = 3.3.3.95 => 이 사이에서 통신이 되는지 확인하기
라우팅(Routing)
경로를 알려주는 행위.
라우터에는 어떤 주소가 적혀있을까? ip 주소가 적혀있을 것이다.
라우팅의 종류에는 두 가지가 있다.
- 정적(Static) : 수동 + 고정
- 동적(Dynamic) : 자동 + 유동
라우팅 테이블을 활용한다.
라우팅을 하려면 두 가지 정보가 필요하다.
- 목적지
- 방향(Next-hop)
아래 명령어로 라우터 정보 확인 가능. 직접 연결된 라우팅 테이블의 정보가 나옴.
Router>en
Router#conf t
Router#do sh ip route
next-hop 설정 방법
ip route 목적지대표주소 서브넷마스크 next-hop
Router1: ip route 3.3.3.48(목적지대표주소) 255.255.255.240(서브넷마스크) 3.3.3.34(Next-hop)
=> 정적 라우팅을 해준 것
=> next-hop은 무조건 네트워크 안에 속한 주소여야 한다.
다시 do sh ip route를 하면 정보가 하나 더 생김. 수동으로 입력한 정적 라우팅 정보!
3.3.3.48 [1/0] via 3.3.3.34
그렇다고 ping 통신이 되는 것은 아니다.
ping을 통해 보낸 ICMP 메시지가 도착은 했는데, 응답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Router2: ip route 3.3.3.32(목적지대표주소) 255.255.255.240(서브넷마스크) 3.3.3.49(Next-hop)
do sh ip route로 확인. 정적 라우팅을 한 것이다.
이렇게 다른 쪽에서도 정적 라우팅을 하면 ping 통신이 된다.
+추가) ?를 치면 어떤 것을 쳐야할지 알려줌
ex) ip route 3.3.3.33 ?
ex) ip route 3.3.3.33 255.255.255.240 ?
'🏫 Cloud Practice > 🧪 On-Premi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AN 설정을 해보자 (0) | 2023.09.04 |
---|---|
NAT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9.01 |
VLSM, OSPF (0) | 2023.08.31 |
라우터와 스위치, 사설 IP, 네트워크 연결 (0) | 2023.08.30 |
Cloud, Network (0) | 2023.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