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edwith.org/ncloudassociate/lecture/61956
Compute 상품
- 기본적인 서버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상품
- 서비스 규모와 사용목적에 적합한 성능의 서버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버 타입 제공
- 일반적인 Compact Standard 서버(2vCPU~16vCPU, 1G~32G RAM 메모리) 상품부터 High Memory 서버(256G RAM 메모리), VDS(Virtual Dedicate Server, VM 간섭x), HPC(High Performance Computing,대규모 연산 서버,금융사), GPU(ML/AI용) 등 다양한 상품 라인업이 준비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체험용 서버인 마이크로 서버(1개 CPU, 1GB 메모리)(1년 무료) 제공
- 요금 구성
- 컴퓨팅(CPU, 메모리), 네트워크(outbound), 스토리지 요금이 발생
- CPU, 메모리
- 서버를 끄면 요금이 발생하지 않는다.
- 네트워크
- 외부 네트워크에서 발생해 내부 네트워크로 패킷이 전달되는 것을 Inbound 트래픽이라고 하며, 내부 네트워크에서 발생해 외부 네트워크로 패킷이 전달되는 것을 Outbound 트래픽이라고 한다.
- Inbound 요금은 부과되지 않고, outbound 요금만 부과된다.
- 서버를 끄면 요금이 발생하지 않는다.
- 스토리지(디스크)
- 이 영역을 OS 영역 혹은 루트 영역으로 부른다.
- 기본 storage는 50GB 혹은 100GB로 구성되어 있다.
- storage의 공간을 늘리거나 변경할 수 없다.
- 서버를 정지시키더라도 요금이 발생한다.
- CPU, 메모리
- 서버 정지 시 컴퓨팅, 네트워크 요금은 발생하지 않으나 스토리지 비용 발생 (Micro, Compact, Standard)
- 서버 정지 시 표준 요금이 적용되는 서버 (High memory 서버, VDS, GPU 서버)
- 컴퓨팅(CPU, 메모리), 네트워크(outbound), 스토리지 요금이 발생
- SSD, HDD 디스크 타입 제공
- SSD와 SaaS 타입 디스크 두 가지 타입을 제공하고 있다.
- 사용자가 빠른 퍼포먼스를 필요로 하면 SSD를 이용하고, 일반적인 용도라면 SaaS 타입의 HDD를 사용하면 된다.
- SSD 사용 시 최대 IOPS 보장
- 최대 IOPS
- 디스크에 맞추어서 실제로 4천부터 2만까지 고정되게 된다.
- 디스크 용량에 따라 가변적이다.
- 최대 IOPS
- IO 퍼포먼스 차별화
- SSD 사용 시 최대 IOPS 보장
- SSD와 SaaS 타입 디스크 두 가지 타입을 제공하고 있다.
서버 상품을 직접 만들 수도 있고, 쿠버네티스나 오토스케일링 관련 상품을 구성할 수도 있다.
서버 타입
- 서비스 규모와 용도에 적합한 서버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타입 제공
- Intensive는 CPU Clock이 높고 고성능 연산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들이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Standard 혹은 Compact를 이용하게 될 것이다.
일반 서버
- VDS는 서버 스펙이 특이하다. 디스크는 로컬 디스크로 제공한다.
- 서버 스펙을 자유롭게 업다운할 수 있다.
- High Memory/VDS/CPU Intensive는 스펙 업다운(Compact로 옮기기 등)이 불가능하다.이미지를 떠서 옮겨야 한다.
Bare Metal Server
-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고성능 물리 서버를 클라우드 형태로 제공
- 물리 서버에 하이퍼바이저 없이 바로 운영체제를 설치하여 제공
- 적합한 RAID 구성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RAID1+0 / RAID5)
- 단독 서버를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성능에 민감한 서비스도 안정적으로 운영 가능
- CentOS, ORACLE Linux와 windows 제공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다양한 서비스와 연계 가능 (단, 내서버 이미지, 스냅샷, 추가스토리지 기능 제외)
- 서버 장애 시 Live Migration 불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VM들, 클라우드 서버 가상화를 쓰는 것이 아니라 클라우드에서 서버 그 자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Bare Metal Server 사용자는 높은 서버 사양을 요구하거나 특정 라이센스의 제약 사항으로 인해 사용하게 된다.
위 두 개는 게임 서버, 아래 세 개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용도로 만들어졌다.
- 20 core: MSSQL
- 8 core: ORACLE
- 4 core: MSSQL 최소
왜 20 core? MSSQL Standard Edition은 최대 지원하는 core수가 20 core이다.
32 core에 MSSQL Standard를 깔면 비용은 32 core로 내지만 성능은 20 core이다.
그래서 20 core가 최적화된 것이다.
8 core, 4 core도 마찬가지이다.
Bare Metal Server는 리소스(성능)에 대해서 최대한의 정도로 높이 끌어올릴 수 있게 한다.
그래서 물리 서버 고성능의 장점과 클라우드의 편의성 두 장점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장점 몇 가지는 이용할 수 없다. (내 서버 이미지, 스냅샷, 추가 스토리지 등 서버 operation 이용x. live migration, cold migration 등 장애 복구 기술을 이용x)
GPU Server
- 병렬 처리에 최적화된 GPU 서버의 고성능 컴퓨팅 파워를 제공
- 딥러닝을 위한 GPU 서버 팜
- NVIDIA P40 장착
- NVIDIA GRID 기술이 아닌 Pass Through를 적용하여 제공
- 서버당 최대 2장의 GPU 제공
- GPU 제공 사용
- 4vCPU, 30GB Memory 당 GPU 1개, 24GB GPU 메모리 제공
- 제공 OS
- CentOS 7.3, Ubuntu 16.04
- 딥러닝을 위한 GPU 서버 팜
GPU 서버는 최근 머신러닝,딥러닝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병렬처리를 위해 NVIDIA P40 장착된 GPU 서버를 제공한다.
GPU 카드 개수를 정하면 서버 스펙이 자동으로 고정되는 형태가 된다.
GPU 서버 한 장당 4vCPU, 30GB Memory
서버 타입별 특성
Compact/Standard: 일반적으로 가장 많은 기능을 제공
Micro: 많은 기능이 불가능
High Memory: Auto Scaling 불가
VDS: SSD 스토리지만 제공, Auto Scaling 불가
GPU: Auto Scaling 불가, Network Interface 이용 불가
국가별 지원 서버 타입
서버 Operation 방법
- 웹 콘솔을 이용한 Operation
- Ncloud.com 콘솔을 이용하여 다양한 오퍼레이션 진행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경우 웹 콘솔의 Operation 기능은 100%
- CLI Operation
- 별도의 CLI 툴을 설치하여 명령 프롬프트에서 명령어를 이용하여 Operation
- S3의 경우 AWS CLI를 이용하여 Operation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경우 CLI의 Operation 기능은 60%
- API Operation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Operation 명령어 개발하여 사용
- S3의 경우 AWS API를 이용하여 Operation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경우 CLI의 Operation 기능은 60%
Lab1: 서버 생성 Operation
- 서버 생성 Operation
- 웹을 통한 서버 생성
콘솔 접속
대시보드에서 현재 요금, 서버 이용 현황 등을 살펴볼 수 있다.
Products & Services > Server
server를 만든 후 apache도 올리고, php도 올리고..
Standard 서버 만들기
서버 이미지 선택
서버 설정
- Zone / 스토리지 종류(SSD/HDD) / 서버 타입
HDD를 선택하면 max IOPS가 guarantee되지 않는다. 가격 월 69,000원(SSD보다 더 싸다.)
SSD로 max IOPS, 내 서버가 최대 어느정도의 성능까지 보장받고 싶다.
- 서버 개수 / 서버 이름
서버를 여러 개 만들면 서버 이름 뒤에 numbering이 자동으로 된다.
- Script 선택
만들어 놓은 script가 없고, 아무것도 없는 server를 만든다.
인증키 설정
서버 root/admin password를 인증키로 조회할 수 있게 된다.
네트워크 접근 설정
default ACG 설정
최종 확인
최종 확인
서버 생성된 것 확인하기!
기본적으로 비공인 IP가 할당된다.
외부에서 서버에 관리 목적으로 접근할 수 없다.
관리 목적으로 포트 포워딩을 이용하거나, 서버에 공인 IP를 부여해서 서버에서 외부 접근이 가능하도록 만들어 주어야 한다. 혹은 로드밸런서를 이용해서 서버가 외부에서 접속 가능하게 될 것이다.
서버를 만들면 서버가 생성중으로 들어갔다가, 부팅중, 설정중, 운영중(녹색불)이 된다.
설정중으로 넘어오면 스토리지가 SSD로 50GB storage가 생성된다.
운영중으로 넘어오면 실제로 서버가 booting이 되었고 정상적으로 서버가 서비스 투입 상태로 넘어갔다고 보면 된다.
'⛅ Cloud Study > ☁️ Public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VPC] 10장 연결 제어2: 분산 제어 (0) | 2023.08.03 |
---|---|
[AWS VPC] 9장 연결 제어1: VPC 통제 3요소 (0) | 2023.08.03 |
[NCA] 클라우드 핵심 인프라 2 - Network 서비스 (0) | 2023.07.11 |
[NCA]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개요 (2) | 2023.07.09 |
SSD와 HDD (0) | 2021.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