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장 기본적인 네트워크 설정 : IP 주소, 서브넷, 게이트웨이, DNS IP 주소
- 다양한 정보를 많은 네트워크 장치에 설정하는 것이 번거로워 이런 필수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DHCP 기술이 주로 사용됨
- 서버의 라우팅 테이블
- 네트워크 장비와 같이 서버에서도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 라우팅 테이블을 가지고 있음
- 네트워크 어댑터를 두 개 이상 사용하는 경우 라우팅 테이블 조정 필요
- 목적지, 서브넷,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우선순위 설정
- 네트워크 확인을 위한 명령어
- ping
- IP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목적지까지 네트워크가 잘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네트워크 명령어
- ICMP 인터넷 프로토콜 사용. ICMP의 제어 메시지를 통해 여러 가지 네트워크 상태 파악 가능
- tcping
- tcping을 통해 ping을 확인하듯이 서비스 포트가 정상적으로 열려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음
- traceroute(리눅스)/tracert(윈도우)
- 출발지부터 통신하거나 목적지까지의 네트워크 경로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네트워크 명령어
- 중간 경로의 상세한 정보 얻음
- IP 헤더의 TTL 필드 이용
- tcptraceroute
- 경로 정보뿐만 아니라 서비스 포트를 추가로 확인할 수 있음
- netstat
- 다양한 네트워크 상태 확인
- ss
- 소켓 정보 확인
- nslookup
- DNS에 다양한 도메인 관련 내용을 질의해 결괏값을 전송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명령어
- telnet
- 원격지 호스트에 터미널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매우 오래된 표준 프로토콜
- 안전하지 않은 텔넷 대신 안전한 ssh를 사용하는 것이 좋음
- ipconfig
- 네트워크 설정 확인
- tcpdump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오가는 패킷을 캡처해 보는 기능의 명령어
- 와이어샤크가 tcpdump와 같은 역할을 한다.
- 이를 이용하면 패킷 캡처를 더 쉽게 할 수 있고, 캡처된 패킷이 필드별로 구분되어 표시됨. 패킷별 flow도 확인 가능. tcpdump로 캡처한 패킷을 파일로 출력한 후 와이어샤크로 불러와 볼 수도 있음
- ping
(+) 이번 챕터를 읽는 목적을 상기하기 위해, 책의 서론을 발췌해왔습니다.
- 앞 단원에서는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하고 통신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을 배웠다. 하지만 네트워크가 아무리 잘 구성되더라도 네트워크 장비만으로는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하다.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려면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통신이 되도록 구성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이해하고 연결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곤 한다. 서버 쪽에서 네트워크를 이해하면 네트워크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네트워크 쪽에서는 서비스에 대한 이해가 깊으면 문제 해결이 훨씬 쉬울 것이다. 서비스 가동 중에 장애가 발생한다면 문제점을 신속히 파악해 해결해야 하므로 상호 기술 이해가 중요하다.
- 상호이해를 돕기 위해 네트워크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고 네트워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서버의 네트워크 설정에 대해 다루어볼 것이다.
- 네트워크 엔지니어와 서버 엔지니어 모두 상호 영역의 접점을 이해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Cloud Architect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10장 - 서버의 방화벽 설정/동작 (0) | 2023.07.09 |
---|---|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9장 - 보안 (0) | 2023.07.09 |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7장 - DNS, GSLB, DHCP (0) | 2023.07.09 |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6장 로드 밸런서/방화벽: 4계층 장비(세션 장비) (0) | 2023.07.09 |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5장 라우터/L3 스위치: 3계층 장비 (0) | 2023.07.09 |